투컴 방송 셋업 #2 오디오 출력 셋업(SPDIF광출력 노이즈 해결기)

2025. 4. 23. 11:52작업환경 셋업 노트

🎛 SPDIF 광출력으로 깨끗한 소리 보내기 – Sound Blaster Z + Audient iD14 노이즈 해결기

투컴 방송 세팅을 하면서 가장 까다로웠던 부분 중 하나가 바로 오디오 연결이었다.
특히, 메인컴의 Sound Blaster Z에서 SPDIF(광출력)으로 오디오를 송출하고,
송출용 PC에서는 Audient iD14 오디오 인터페이스로 입력받는 과정에서 노이즈가 섞이는 문제가 꽤나 성가셨음.

우선 관련한 문의를 제조사 및 온갖군데에 다 물어봤지만

모니터링 스피커로 듣는 도중에 계속 조금씩 튀는 노이즈가 들림.

 

원래는 국민셋팅처럼 돌아다녔던 "야마하의 AG06" 같은 제품도 썼었지만 도저히 음질저하랑 노이즈 때문에 못견디고 광출력 입출력을 받아보고자 큰맘먹고 지른 오인페가 Audient iD14였는데 이마저도 광출력에서 도대체 왜 노이즈가 들리는가. 수도없이 고통받다가 답을 찾았다.

 

 

이런 물건임 광출력에 관심있어서 산다면 MK II로 사야한다.

 

 

 

이렇게 뒤통수에 보면 OPTICAL INPUT이라고 입력받을 수 있음

 


🎧 사운드 기본 셋업 구성

  • 🎮 메인컴
    • Sound Blaster Z (SPDIF Optical Out)
    • 120Hz 게이밍 + 방송 겸용
  • 🎥 송출용 컴퓨터
    • Audient iD14 MK II (광입력 / USB)
    • OBS, 치지직, 유튜브 등 방송 송출 담당

🔊 발생한 문제: “팝 노이즈”와 음 끊김

광출력은 아날로그보다 잡음이 덜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초기에는 불규칙적인 팝 노이즈짧은 음 끊김 현상이 발생함. 이 부분이 해결이 안되서 진짜 미쳐버리는 줄 알았음.

🧩 주요 증상

  • 몇 초 간격으로 “틱” 하는 작은 노이즈
  • OBS에서는 정상처럼 보여도 모니터링 시 이질감 발생
  • 게인 높이면 더 잘 들림

✅ 해결 과정 요약

1. 양쪽 샘플레이트를 48kHz로 고정

  • 메인컴: [사운드 설정 → SPDIF 장치 → 24bit, 48kHz 선택]
  • 송출컴(iD14): iD Mixer 설정에서도 48kHz로 고정

🔄 서로 샘플레이트가 다르면 클럭 충돌로 미세한 노이즈가 생기기 쉬움
이건 어딜 찾아봐도 같은 이야기가 나오기 때문에 당연히 맞췄음.


2. 단독 모드 해제 (또는 선택적 적용)

  • “이 장치가 단독 모드로 실행되도록 허용” → 체크 해제
    → 일부 DAW나 OBS와 충돌 시 해결됨 이 부분이 진짜 중요함! 이걸 당연히 체크해줘야 되는 줄 알았는데 아니었음.

여기에는 중요한 이유가 있는데, 실제로 SPDIF 신호 포맷과 Audient iD14의 디지털 입력 처리 방식(ADAT/SPDIF 공유)은 완벽하게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간헐적인 노이즈나 호환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

 

🔌 SPDIF vs iD14 디지털 입력 구조 비교

항목SPDIF (Sound Blaster Z)Audient iD14 (디지털 입력)
포맷 SPDIF (Consumer Digital Audio Interface) ADAT 포트에 SPDIF 신호 겸용 수신
코넥터 광(TOSLINK) 광(TOSLINK, ADAT/SPDIF 겸용)
표준 IEC 60958 Type II IEC 60958 Type I/II (ADAT 옵티컬 포함)
최대 채널수 2채널 (스테레오) 최대 8채널 (ADAT), SPDIF는 2채널 호환
샘플레이트 호환성 44.1 / 48 / 96kHz (SB Z) SPDIF로는 44.1 / 48kHz만 안정 지원
클럭 마스터 송신기(SB Z) 수신기(iD14)는 외부 클럭 동기화 필요

 

⚠️ 구조적 문제의 핵심 포인트

- 클럭 마스터/슬레이브 체계

  • SPDIF 신호는 **송신기(SB Z)가 샘플레이트 클럭을 지배
  • iD14는 수신기(SPDIF Slave)정확한 클럭 신호가 안 오면 팝노이즈 발생

🎯 샘플레이트 mismatch, jitter 등으로 인해 작은 끊김이나 '틱' 소리가 나는 현상 발생

 

 

- ADAT/SPDIF 포트 겸용 구조의 제약

  • iD14의 광포트는 본래 ADAT(멀티채널) 전용이지만,
    SPDIF 수신도 겸용으로 지원
  • 이 때문에 드라이버에서 “디지털 입력 모드”를 SPDIF로 수동 설정하지 않으면
    SPDIF 신호를 제대로 못 읽거나 노이즈가 발생

Audient iD MixerAudio Settings에서 디지털 입력을 SPDIF 모드로 명시해야 함

 

- 44.1kHz보다 48kHz에서 안정적인 이유

  • ADAT 기반의 입력 회로가 기본적으로 48kHz에 최적화됨
  • 44.1kHz 입력은 일부 장치에서 비표준 처리되어 노이즈 발생 위험
    → 그래서 대부분의 방송 세팅에서는 48kHz 고정이 권장됨

 

✅ 왜 문제 생겼고, 어떻게 해결됐나?

원인해결 방법
클럭 충돌 송신기/수신기 모두 48kHz 고정
ADAT 포트에서 SPDIF 모드 미설정 Audient 제어 소프트웨어에서 SPDIF 모드 명시
SB Z 광출력 볼륨 과다 → 디지털 클리핑 SB Z 출력 볼륨 35%로 제한
OBS나 OS 단독모드 충돌 단독모드 해제, 리샘플링 방지 설정 확인

🧠 참고로…

🔧 SPDIF는 기본적으로 소비자용 디지털 표준이고,
Audient iD14는 전문 오디오 환경(ADAT 기반) 기준으로 설계된 장비.

→ 그 사이를 연결하려면 위와 같은 포맷/클럭/드라이버 레벨 튜닝이 꼭 필요했던 것

 


3. 메인컴 출력 볼륨 조절

  • SPDIF 광출력은 디지털 신호라 실제 볼륨을 조절하지는 않지만,
    SB Z의 제어 패널에서 35% 정도로 조절해야함 iD Mixer에서는 -6dB 이내로 안정됨
  • 광출력으로 보낼 경우 너무 크면 iD14 측에서 피크 떠서 노이즈 유발

4. OBS 필터는 마지막 단계

  • 컴프레서나 노이즈 게이트는 노이즈 제거 후 적용
  • 초기에 걸면 원인 파악이 어려워짐

 

🧠 결론

SPDIF는 원래 잡음 없는 디지털 출력이지만,
클럭 충돌, 볼륨 피크, 단독 모드 충돌 등 예상 밖의 이슈들이 생기기 마련이다.

 

그런 면에서,
iD14의 SPDIF 입력을 잘 활용하려면 ‘디지털도 조율이 필요하다’는 교훈을 얻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