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4. 22. 04:59ㆍ작업환경 셋업 노트
방송 셋팅하다 보면 정말 끝이 없다는 걸 느낀다.
방송용 투컴 셋업, 메모
요즘 OBS 셋업 글 많지만 진짜 방송 환경에서 "어떤 세팅이 편한지"는 잘 안 나온다.
그래서 나는 내가 지금 실제로 쓰고 있는 방송 세팅값, 장비 조합, 장단점까지 정리해둠.
---
🎛️ 전체 장비 리스트 (2025년 4월 기준)
- 🎥 Sony A7C II + SEL35F14GM + LUT 적용 (웹캠 있으면 웹캠 써도됨)
- 🎙️ 오디오 인터페이스: Audient iD14
- 🎤 마이크: MXL V67 (콘덴서마이크)
- 🎮 캡처보드: 스카이디지털 4K LIVE (PCI-E 내장형) + EVGA USB타입 USB 캡쳐보드(미러리스 입력용)
- 🖥️ 송출용 PC: Ryzen 5 5600 + 기가바이트 B450M 어엘 + RAM 16GB + RTX4060
- 🎮 게임용 PC: Ryzen 5 9700X + 기가바이트 X850 어엘 + RAM 32GB + RTX 4070 SUPER
🖥️ 모니터 구성 (2모니터 세팅)
메인 게임&작업용 모니터
- LG 32GP850 (QHD, 싱글 사용 시 165Hz / 방송 시 120Hz)
- 게임 화면 출력 + 캡처보드로 송출
- 인풋렉 최소화가 중요한 격겜(예: 철권8) 기준 세팅
작업 & 모니터링용 세로형 모니터
- LG 28MQ780 듀얼업 (2560×2880 60hz)
- OBS, 송출 화면, 채팅창, 오디오 레벨 확인 등 다용도 사용
- 상황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위칭하면서 작업용·송출용 병행
---
LG 28MQ780 추천하는 보조 모니터.
모니터를 옆에 듀얼업으로 두면 OBS 대시보드, 캡처 신호 확인, 채팅, 웹 편집 등
방송에 필요한 모든 작업을 한 화면에 편하게 쌓아놓고 컨트롤할 수 있다.
방송하면서 다른 장면 확인할 때도 Alt+Tab 없이 자연스럽게 스위칭할 수 있어 작업 흐름이 끊기지 않는 게 가장 큰 장점이다.
--
🔌 케이블 & 연결 구조
1. A7C II → EVGA USB 캡처보드 → 송출 PC
2. 콘덴서 마이크 → iD14 (오디오인터페이스) → 송출 PC & OBS 필터
3. 게임PC 사운드 → 사블Z SPDIF 광출력 → iD14 optical in
📎 케이블 정리 방식도 중요. 바닥에 절대 두지 않음.
---
🔊 마이크 세팅 (iD14 + OBS)
- iD14에서 게인 최소화 (잡음 방지)
- OBS에서 디지털 게인 올림 (음성 강조)
- 노이즈 게이트, 컴프레서 필터 적용 값 정리:
- 노이즈 게이트: -45dB / -40dB
- 컴프레서: Ratio 3.2, Threshold -15dB
- 필요에 따라서 노이즈 캔슬을 넣기도 함.
---
🎥 카메라 세팅 (A7C II)
- Picture Profile: PP10 (Slog3)
- LUT: [이름] (적용 %는 35)
- 화이트밸런스 고정
---
📺 OBS 씬 구성 팁
- 카메라 화면에 톤 강조
- 장면 전환은 딜레이 없음 / 최소한의 텍스트 오버레이
---
🙆 최종 사용 후기
- 장점: 목소리 또렷, 카메라 색감 매우 만족, 셋업 고정 이후 안정성 굿
- 단점: 광출력 설정 꼬이면 한참 헤매야 함, LUT 관리 귀찮음
- 개선 방향: Stream Deck에 씬 자동화 세팅 중 (다음 포스트에서 정리)
---
내가 쓰는 방송 셋업은 이렇다.
검색해서 흩어진 정보보다, 실제로 이렇게 쓰는 사람 세팅값이 도움이 되길 바라며.
세부적인 셋팅은 이제 추가 글에서 남기기로.
'작업환경 셋업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컴 방송 셋업 #3 송출용 PC는 조금 큰 보드가 좋음.. (0) | 2025.04.23 |
---|---|
투컴 방송 셋업 #2 오디오 출력 셋업(SPDIF광출력 노이즈 해결기) (0) | 2025.04.23 |
투컴 방송 셋업에서 철권8 인풋렉 최소화 하는 셋팅 연구 (0) | 2025.04.22 |